본문 바로가기

Facilitation

원탁토론 이렇게 준비하면 됩니다! (Feat. 부천시 샐러드볼 공청회)

 

원탁토론은 다수의 참가자가 원형 테이블 주위에 앉아 토론하는 형식입니다

왜 원탁토론이 많은 사람에게 관심을 받고 있을까요?

의사결정에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키는 것은 중요합니다. 민주적인 절차의 중요성을 차치하고라도 의사결정과정에 이해관계자가 함께 해야 결정된 사항에 대한 실행력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정부정책 수립과정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시민들의 의견수렴 절차입니다. 기업에서 역시 직원들과 소통의 방법으로 타운홀 미팅등을 갖습니다. 변화의 방향을 직원들과 함께 공유해야 실행력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에서 시민들의 의견을 묻는 방법으로 많이 활용하는 방법이 공청회입니다. 보통 공청회는 무대에 앉아 있는 패널들이 발제하고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청중은 이들의 얘기를 듣고 질문시간을 통해 본인의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본인의 의견을 얘기하는 것은 가슴 떨리는 일입니다. 이때문에 시민 의견을 듣는 절차가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극단적으로는 시민들의 질문을 사전에 각본에 따라 준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엇인가 잘못된 듯 합니다.

 

원탁토론은 시민들의 의견을 듣는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원탁토론은 참여자가 평등한 위치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함께 의견을 모아가도록 이끕니다.

 

효율적인 원탁토론 준비방법은 무엇일까요?

아래의 다섯가지 질문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1. 원탁토론을 진행하는 목적이 무엇인가? (어떤 이유로 원탁토론을 진행하고자 하는가?)

2. 누구를 참여시키는 것이 원탁토론을 의미 있게 만들 수 있는가? (원탁토론에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3. 원탁토론을 통해서 어떤 결과물이 도출되어야 하는가? (어떤 결과물이 도출되었을 때 원탁토론을 성공적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가?)

4. 어떤 순서와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최선인가?

5. 원탁토론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장소는 어디이고 어떤 형태로 자리배치 해야 하는가?

 

효율적인 원탁토론 준비방법을 더 깊이 살펴보기 위해서 2018년 9월 진행되었던 부천시 샐러드볼 공청회 내용을 위 5가지 질문의 맥락으로 살펴봅니다. 샐러드볼 공청회는 샐러드볼에 다양한 야채가 혼합되어 어우러지듯이 다양한 시민 의견을 담아보자는 취지를 담고 있습니다.

 

 

1. 원탁토론을 진행하는 목적이 무엇인가? (어떤 이유로 원탁토론을 진행하고자 하는가?)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발전계획 용역 수행결과에 대해서 시민 의견을 묻기 위해서 만들어진 자리입니다. 

 

2. 누구를 참여시키는 것이 원탁토론을 의미 있게 만들 수 있는가? (원탁토론에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부천시 평생학습을 이끌어온 핵심 멤버와 더불어 향후 평생학습으로 함께 할 시민들이 초대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주민자치위원장님, 학습반디 매니저(평생학습 현장에서 평생학습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시민활동가), 작은도서관장님 등이 퍼실리테이터로 함께 했습니다. 시민의 진짜 목소리를 듣기 위해서 시민이 참여하고 또 시민이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습니다. 

 

3. 원탁토론을 통해서 어떤 결과물이 도출되어야 하는가? (어떤 결과물이 도출되었을 때 원탁토론을 성공적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가?)

부천시 평생학습도시 중장기 발전계획 용역 수행결과에 대한 시민의 생각을 듣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중장기 발전계획 실천아젠다에 대한 정책의 우선순위를 시민들의 의견으로부터 결정하고자 했습니다.

 

4. 어떤 순서와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최선일까?

  • 평생학습 중장기 발전계획에 따른 새로운 5년을 시작하는 자리인 만큼 시민들의 축하공연으로 원탁토론을 시작했습니다.
  • 이 자리가 얼마나 중요한 자리인지, 우리가 하는 일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공유했습니다.
  • 평생학습 중장기 발전계획에 대하여 원탁토론에 참여한 사람들이 이해하도록 브리핑했습니다.
  • 정책의 우선순위에 대해서 1차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 테이블 퍼실리테이터와 함께 각각의 정책에 대해서 토론하고
  • 토론 결과를 Gallery Walk 방식 (미술관에서 그림을 관람하듯 다른 팀이 도출한 결과를 자유롭게 공유하는 방법)으로 나눴습니다.
  • 정책의 우선순위에 대해서 2차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5. 원탁토론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장소는 어디이고 어떤 형태로 자리배치 해야 하는가?

부천시의회 로비에서 진행했습니다. 원탁토론을 부천시의회 로비에서 진행한다는 것 자체가 상징적인 일이었습니다. 그날 시의회 로비는 시민들의 참여 열기로 뜨거웠습니다.

 

 

다양한 기관과 다양한 아젠다를 가지고 원탁토론을 진행했던 경험에 비춰서 원탁토론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3가지를 뽑으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원탁토론 진행목적에 따른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능력
2. 진행상황을 아우르는 치밀한 진행 시나리오
3. 현장의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퍼실레테이션

 

새롭게 원탁토론을 준비하고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에서 말씀드린 5가지 질문에 답해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해 보세요!